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쓰인 책이긴 하지만 학교 수업에도 시사점이 있음..
"요즘 저학년 수학은 상황을 이해해야 해요. 문장의 내용을 제대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죠. 스토리텔링 수학에서도 문장 이해력이 필수예요. 문장 이해력은 학생들이 책을 읽는 것을 들어보면 알 수 있는데 교과서에 아주 좋은 말이 있어요. '말하듯이 읽어라' ...초등학교 저학년 때는 엄마 한 번 읽고 아이 읽고, 또다시 반복하는 연습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게 수학은 아니더라도 굉장히 중요해요. 감정을 넣어서 읽는다면 더 좋겠지요. ..."
아이의 문제 이해도 체크. 문제를 틀렸다고 하기 전에 아이의 발달단계에 맞는 눈높이인지 다시 고려해 보는 것이 필요. 기초적인 지식을 잘 알고 있는지 체크할 필요 있음.. 강요당하는 교육의 폐해.
열심히 하지만 배반당하는 과목, 수학. 때문에 인기가 없다.
잘 못해도 여러 번 시도할 수 있는 회복탄력성을 길러야 하고, 즐겁게 할 수 있게 환경 조성, 정서적 지지 필요하다.
그리고 어휘. 문해력의 중요성..그를 위해서는 수학과목 자체 보다도 우선 즐겁게 무언가를 꾸준히 읽도록 도와줘야 한다.
문제풀이에서의 수학에서 중요한 것은, '문제에 대한 이해력과 집중력.' 읽는 습관의 중요성...문해력의 중요성...
"수학을 조금 못한다 해도 그게 상처가 되어 수학이란 과목이 보기 싫어져서는 안 됩니다."
"소외되거나 외롭지 않은 교육, 모두가 자신의 능력에 필요한 교육을 받는 것."
학은 넘치는데 스스로 익혀야 하는 습은 없다.
선호학습유형은 알되 골고루 접목하고 융화해서 지도.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노트정리. 애들은 노트정리 싫어한다...그런 아이들에게는 지적보다도 칭찬할 준비. 감탄사를 던질 준비. 적절한 칭찬. '어머,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했구나.' '이건 무슨 말이야?'
중고등학생과 달리 초등학생은 정서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시기. 바탕에 사랑과 감사와 존중이 깔려 있어야 기초가 닦이는 시기. 외적인 성장과 더불어 내적인 성숙을.
----------------------------------------------------------------------------(이하 방법론에 대한 이야기.
핀란드 수학교과. '복습' 단원
현재학년보다 이전학년을 복습하게 해야 한다.
방학 때 마음먹고 책 한 권 복습...이건 가정과 연계하지 않음 힘들 듯.
"핀란드 교육과정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은 학생들한테 복습을 계속 시켜준다는 거죠. 아이들은 어른처럼 어느 한 가지를 단번에 기억하지 않습니다. 어른들은 필요하면 기록하죠. 그런데 아이들은 뭐가 진짜 필요한지 잘 모르기 때문에 대충 넘어가는 일이 많아서 항상 복습을 해줘야 하는 겁니다."
저학년 때는 의지가 약하니 수업을 재미 있게 들을 수 있게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학습지는 수학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림...1,2학년 때 수학을 못하는 아이들은 언어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교과서의 문장, 교사의 설명이 더 어려울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장기적으로 볼 때 수학과 멀어지게 된다...고로 학습지는 금물..
정서적인 지지와 언어능력 신장의 중요성.
집중적으로 풀되, 맞은 문제를 복기하기.
오답은 놔 두고 맞았다고 주장하는 문제를 어떻게 풀었나 복기하게 하기.
개념연결과 확장. 때문에 기초는 튼튼해야 한다...
초3 분수의 중요성.
곱셈에서의 동수누가개념 사라지지 않게 만들기. 구구단을 외되 동수누가 개념이 사라지지 않게.
개념연결의 중요성. 제대로 된 기초개념 정립. 개념들을 연결하기 위한 문제해결전략과 수학적 사고의 중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