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하게 된 후로 주중에는 도통 걸을 일이 없다. 억지로라도 다리를 움직일 필요가 있는데...주말이 아니면 쉽지 않다.

집 주변이나 마을을 몇 바퀴 걷거나, 대형마트를 싸목싸목 부러 싸돌아 다니곤 하는데, 걷기에는 팟캐스트를 함께 듣는 것이 적절.

예전에는 오디오북 팟캐스트인 소라소리나 이승열 케일린의 영미문학관을 주로 들었는데, 최근 들어 이수정교수가 팟캐스트에 합류했다고 해서 정주행중이다. 

그것이 알고싶다에 전문가로 자주 나오시던 것을 계기로 관심을 갖게 된 분인데, 이 분의 말씀을 계기로 외국 살해피해자의 대부분이 남성인 것과 반대로 한국의 경우 여성피해자가 압도적으로 많다는 독특한 현실. 그것도 많은 경우 가까운 사람에 의해 죽임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 사법제도 역시 피해자의 상황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아 이중 삼중으로 피해를 확대한다는 점을 새록새록 알게 됐었다..

이수정 교수는 전부터 가정폭력이나 미성년자와 성인 여성 대상 성폭력 등. 많은 경우 죽음을 방지할 수 있었던 상황에서도 피해자의 입장이 아닌 가해자의 선처를 더 고려하다보니 계속 피해가 커지고 있는 면이 분명 있다고 꾸준히 지적해 왔다.

가정폭력에 아직도 가정 내부의 문제라고, 결국 가정을 지켜야 된다며 미온적으로 대응하는 상황이 너무 많아 붕괴된 가정이 장기적으로는 소외된 아이들이 범죄자나 성범죄 피해자로 뒤틀리고 마는 온상이 되고 있고, 가깝게는 견디다 못한 아내가 남편을 살해하고 마는데 이를 정당방위로 인정하지 않고 계획적인 살인죄로 판단하여 십수년에서 무기징역에 이르는 무거운 형량을 선고받고 복역하게 하거나, 남편이 결국 아내를 죽이고 마는데 죽일 의도가 없었는데 잘못 때려서 과실치사로 감량받는 경우가 끊이질 않고 있다는 점(이런 점에서 여성이 2등 시민이 아니고 무엇이랴. 당하는 입장은 당해오는 것이 흔하고 일반적이라 대단치 않으며, 가해자는 오랫동안 잘못한 것이지만 이번은 실수한 것이니 감량해주고. 사법 불평등이지. 얼마 전 중년여성은 사회생활 많이 한 바 있다며 성범죄를 감량해 준 판결이나..같은 불법 촬영에 대해 여성가해자와 남성가해자를 이중잣대로 판결한 것 역시. 비슷한 경우라 할 수 있지 싶다). 뒤를 따라붙는 것 이상으로 실질적인 강간이나 생명 피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정말 많기에 꼭 필요하다고 보는 스토킹 방지법 등이 매번 입법 과정에서 좌초되는 등, 사법적인 대응이 '변하고자 노력하고는 있으나' 여전히 상황을 제대로 직시하지 못하고 느리다는 것이다. 

이수정 교수는 무수한 여성 피해자들과 가정폭력 하에서 불가피하게 가해자의 나락으로 떨어진 무수한 여성들을 만나왔기에, 그들의 불행이 자신과 딸의 삶과 아주 무관하지 않다고 여기셔서-살다보면 어찌될지 어떻게 알겠는가-끊임없이 제도 변화를 위해 목소리를 내고 있다고 밝히신 바 있다. 이런 분이 계시다는 것에 조금이나마 든든한 마음이 들고..응원하는 마음이 들 수밖에.

이번 이수정 이다혜의 범죄영화 프로파일에서 이수정 교수는, 여러 가지 범죄영화를 살펴보며 젠더 권력 차이로 인한 가정폭력, 성폭력 등 각종 범죄 외에도 보더라인 증후군, 리플리 증후군 같은 정신병에 기반한 범죄, 불법적인 채권추심으로 인한 범죄 등 다양한 범죄에 대해 전문가로서 코멘트한다. 사회의 이런저런 면을 진단해보는 느낌도 있고. 범죄로 이어지는 다양한 신경증에 대한 흥미로운 얘기도 많아서 재밌게 들을 수 있었음. 영화가 감독의 의도에 따라 제작된, 누군가의 필터를 거친 작품이다보니 그에 대한 이다혜 기자와 이수정 교수 나름의 비평을 듣는 것 역시 재밌다. 꾸준히 들을 생각이다.

Posted by 에크멘
,
서천석의 우리아이 문제없어요. 11/19 방송분.

첫 번째 아이 사연.

정리 못하는 둘째 아이. 정리하라고 하면 성질을 있는대로 부리면서 여기저기 쑤셔박기. 한 마디도 지지 않고 말대꾸. 그래놓고 자기가 둔 곳 까먹고 물어 봄. 엄마는 속상하고 화나서 싸움. 동생과도 소소한 걸로 다툼. 친척동생들한테는 무척 상냥하지만 자기 동생에게만 차갑고 냉정. 모든 것은 동생잘못이라고 대답. 아빠가 있으면 말대꾸 줄지만 아빠가 없으면 함부로 대함. 하지만 평소 엄마를 가장 챙겨주는 것도 둘째 딸. 간식도 갖다주고, 허리디스크로 아픈 엄마도 가장 많이 안마해 줌. 그 아이를 생각하면 자꾸 속상하고 눈물이 나는 엄마. 이 전쟁은 언제 끝날까?


자식에게 말다툼으로 이겨도 마음이 안 좋고, 애한테 미안하고, 어떡하나 싶고, 걱정이 많은 경우 많음.
둘째가 잘나면 이런 경우가 덜함. 둘째는 큰애에 비해 밀림. 존재감이 적은 아이. 애들은 두려움이 있음. 나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으면 나는 집에서 버림받을 수 있고, 나는 생명을 위협받을 수 있다는 본능적인 두려움이 5세 이전 아이들에게는 누구에게나 있음. 갖다버린다, 어린 시절 집 나가라, 하는 어른의 말이 어릴 때는 그대로 믿어지는 이유는 그런 본능적인 두려움 때문. 집에서 쫓겨나지 않고 잘 자라 성인이 되어 생식에 성공한 이들의 DNA가 아이들에겐 모두 잠재되어 있는 것. 

좋은 일을 해서 존재감을 부각시킬 가능성이 없을 때, 아이들은 문제행동을 일으켜 관심을 얻으려 한다. 차라리 나를 주목하는 시간을 늘리는 것이 낫다고 여길 수 있음. 좋은 점으로 호감을 사고 관심을 끌 방법이 없으면 반드시 아이들은 미운 짓을 함. 문제를 일으킬 때만 간섭하고 신경을 쓰는 부모의 관심을 끌기 위한 노이즈 마케팅. 나를 보고, 나에게 관심이 있다면 나는 안전하다. 나쁜 짓을 하다가 좋은 짓을 하면 부모가 무척 좋아함. 아. 나는 항상 좋은 일을 할 능력은 없지만 부모의 마음에 영향을 미칠 수 있구나, 하고 그 영향력을 느끼기 위해 자꾸 나쁜 짓을 반복함.

그냥 냅두면 됨. 다른 사람에게 관심이 많은 아이. 지각해서 뭐라 할 것 같으면 알아서 빨리 할 수 있음. 문제가 생기기 전 미리 개입하지 말고, 문제로 트러블을 겪을 때 개입하지도 말고, 아무 문제 없을 때 아이와 교류해야 함. 부정적인 것이 개입되지 않은 상황에서 교류. 애가 흥미있어 할 부분을 함께 하면서 '나는 네가 필요해. 네게 관심이 있어. 네가 좋단다' 하고 메시지를 던지며 관계를 새롭게 바꿔야 함. 다른 안 좋은 짓을 할 때는 반응하지 말고 무반응으로 일관, 냅두거나 문제에 처했을 때 '아유, 어쩌니..힘들겠다' 이 정도로 이야기하고 공감하고만 넘어갈 것. 스스로 만든 나쁜 상황에 빠졌을 때는 결과를 감당해 볼 필요도 있음. 결과를 감당하기 싫으면 나중에 스스로 바뀌어 갈 것임.
아이들은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찾기 위해 관심을 받으려고 함. 사람들이 대체로 그러함. 연애 때도 관계에서 불안정하다 느끼면 나쁜 방식으로 관심을 계속 끌려는 경향이 있지 않은가. 

'팟캐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수정 이다혜의 범죄영화프로파일. 2019.  (0) 2019.09.08
Posted by 에크멘
,